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브랜드 가이드라인 작성법: 일관성을 지키는 실무 매뉴얼 만들기

by 브만사 2025. 4. 17.

브랜드 가이드라인은 왜 필요한가?

브랜드는 ‘한 번 만든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지속적으로 표현되고, 구현되고, 사용될 때 그 힘이 드러납니다.

실무에서는 이런 일이 자주 벌어집니다.
- 다른 부서가 브랜드 톤과 전혀 다른 배너를 제작하거나
- 외주 디자이너가 잘못된 로고 비율로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 협업사가 브랜드 컬러와 어울리지 않는 색을 사용하거나

이런 문제는 모두 브랜드를 정리해 놓은 기준이 없거나, 있어도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브랜드 가이드라인’ 또는 ‘브랜드 핸드북’입니다.

이 문서는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마케터, 기획자, 매장 운영자, 외주 파트너까지 모두가 참고해야 하는 브랜드의 실행 기준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가이드라인이 실무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구조화하고,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브랜드 가이드라인 작성법: 일관성을 지키는 실무 매뉴얼 만들기

 

브랜드 가이드라인 vs 브랜드 핸드북의 차이

구분 브랜드 가이드라인 브랜드 핸드북
성격 규정 중심, 체계적 문서 활용 중심, 실용적 매뉴얼
대상 디자이너, BX팀, 외주 파트너 전사 구성원, 콘텐츠 팀, 마케터
형식 PDF 또는 인쇄본 프레젠테이션, Notion 등
내용 로고 규정, 색상, 폰트, 금지 예시 톤앤매너, 콘텐츠, 언어 스타일
목적 시각 표현의 정확한 일관성 실전 상황에서의 감각 유지

 

➡️많은 브랜드는 두 문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하이브리드 가이드로 제작하고, 상황에 따라 ‘라이트 버전’을 따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브랜드 가이드라인의 핵심 구성 요소

  1. 브랜드 소개 및 철학
    비전, 미션, 핵심 가치, 브랜드 스토리 요약
  2. 로고 시스템
    기본형, 조합형, 흑백형, 최소 사이즈, 금지 규정 등
  3. 컬러 시스템
    메인/서브 색상, CMYK, RGB, HEX 코드와 활용 예시
  4. 타이포그래피
    기본/제목/본문 서체와 자간, 행간, 정렬 가이드
  5. 그래픽 요소 & 아이콘 스타일
    패턴, 도형, 일러스트의 규칙 및 스타일 정의
  6. 사진 및 이미지 가이드
    촬영 톤, 색보정, 피사체 구성, 피해야 할 이미지 예시
  7. 브랜드 언어 시스템
    톤앤매너, 카피 예시, 말투/어휘 스타일 가이드
  8. 터치포인트 적용 예시
    웹, 앱, 패키지, SNS 등에서의 구체적 사용 사례

 

브랜드 가이드라인의 핵심 구성 요소

 

브랜드 핸드북에 포함하면 좋은 실용 항목

  • 자주 묻는 질문(FAQ)
  • Do & Don’t 예시 (잘못된 사용 사례)
  • 상황별 대응 예시 (행사, 배너, 소셜 콘텐츠 등)
  • 외주 협업용 전달 문구 예시

 

브랜드 가이드라인 제작 시 유의사항

  1. 협업은 필수
    디자인, BX, 마케팅팀이 공동으로 작성
  2. 온라인 + 오프라인 병행 배포
    PDF + Notion, 슬라이드 버전 운영
  3. 외주용 라이트 버전 제작
    외부 전달용 요약본 필요
  4. 업데이트 가능 구조로 설계
    버전 관리 가능하고 유연하게 구성

 

브랜드 터치포인트 전략: 고객과 만나는 모든 순간을 설계하다

 

브랜드 터치포인트 전략: 고객과 만나는 모든 순간을 설계하다

1. 경험은 ‘만나는 순간’에서 결정됩니다브랜드를 정의하고, 전략을 수립하고, 아이덴티티를 세운다 해도, 고객과 ‘실제로 만나는 순간’이 설계되지 않으면 그 브랜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dearmybrand.com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는 어떻게 이야기가 되는가?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는 어떻게 이야기가 되는가?

브랜드는 결국 ‘기억되는 이야기’입니다.소비자는 브랜드의 철학, 가치, 디자인, 메시지—이 모든 것을 하나의 내러티브(Story)로 받아들입니다"사람은 정보를 잊지만, 이야기는 기억합니다."

dearmybra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