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브랜드 터치포인트 전략: 고객과 만나는 모든 순간을 설계하다

by 브만사 2025. 4. 17.

1. 경험은 ‘만나는 순간’에서 결정됩니다

브랜드가 고객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모든 접점을 우리는 터치포인트라고 부릅니다.
웹사이트, 광고, 제품 패키지, 고객센터의 말투, 매장 직원의 표정, 배송 박스, 결제 화면까지—이 모든 것은 단순한 ‘채널’이 아니라 브랜드가 전달되는 실제 무대입니다.

터치포인트는 단순히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브랜드의 전략과 톤, 감정까지도 녹아든 일관된 경험의 설계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 설계는 감각적이기보다는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사고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경험 설계의 연장선에서 ‘고객과의 모든 접점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설계할 것인가’에 대해 다룹니다.

 

2. 터치포인트의 5가지 유형

 

터치포인트(Touchpoint)란 고객이 브랜드를 직접 인지하고 경험하게 되는 모든 접점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지 광고나 매장 같은 '노출 채널'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브랜드가 상호작용하며 감정이 형성되는 구체적인 순간입니다. 브랜드가 고객과 만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은 매우 다양합니다.

  • 물리적 접점: 매장, 진열대, 패키지, 인테리어 등 감각적 전달 채널
  • 디지털 접점: 웹사이트, , SNS, 이메일, 모바일푸시 등 디지털 상호작용 채널
  • 커뮤니케이션 접점: 광고, 브랜디드 콘텐츠, 캠페인 메시지, 고객센터, 후기시스템 등
  • 인간 접점: 직원, CS, 행사 스태프 등 사람을 통한 상호작용
  • 제품 자체: 품질, 기능, 언박싱, 사용 경험

이 모든 것이 하나의 터치포인트이며, 각각이 브랜드 경험 전체의 조각이 됩니다.

 

3. 고객 여정 속 터치포인트 전략 설계

 

브랜드 터치포인트 전략은 반드시 고객 여정(Customer Journey) 단계별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여정 단계 터치포인트 예시 핵심 전략 포인트
인지 SNS 광고, 지인 추천, 유튜브 영상 브랜드 개성 강조, 톤의 일관성
탐색 홈페이지, 상세 페이지, 검색 결과 브랜드 스토리와 제품 가치 명확화
구매 장바구니, 결제 화면, 안내 이메일 UX 단순화 + 신뢰 요소 강조
사용 패키지, 제품 사용감, 설명서 브랜드 감성 구현 + 편의성
후기 리뷰 시스템, 고객센터 감정 회복 + 후기 유도 설계
재구매 리마케팅, 앱 푸시, 멤버십 긍정 경험 반복 + 혜택 강화

 

4. 브랜드 터치포인트 전략 사례

⭐ 배달의민족: B급 감성의 유쾌한 일관성과 생활 밀착형 브랜드 접점

배민떡볶이마스터즈배민치믈리에배민배달봉투

  • 전략: ‘배달 서비스’를 넘어서 일상 속 즐거움을 주는 생활 밀착형 콘텐츠 브랜드로 포지셔닝
  • 터치포인트 운영 방식:
    • 앱 내 언어유희: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떡볶이 하나 튀기고 있어요.”
    • 굿즈 운영: 배민체, 다이어리, 스티커 등으로 일상 곳곳에 감성 전파
    • 이벤트 연계: 치믈리에 자격시험, 떡볶이 마스터 테스트 등 참여형 체험 강화
    • 배달의민족 서체 무료 배포 → 브랜드 언어 확장
  • 고객 경험 포인트: 브랜드의 농담과 감성이 앱, 굿즈, 행사 등에서 일관되게 전달됨. 사용자 자발적 공유 유도

 

⭐ 넷플릭스: 콘텐츠 중심의 몰입형 터치포인트 오케스트레이션

넷플릭스 기묘한이야기 팝업넷플릭스 샵 오징어게임

  • 전략: 콘텐츠 하나하나가 브랜드처럼 작동하는 IP 기반의 브랜드 경험 플랫폼
  • 터치포인트 운영 방식:
    • 작품 공개 전후 오프라인 체험존 운영 (Stranger Things, 오징어게임 등)
    • 앱 내 UI/UX를 콘텐츠 큐레이션 중심으로 구성
    • SNS 밈 콘텐츠 및 글로벌 바이럴 캠페인 연계
    • Netflix.shop 운영 → 콘텐츠 굿즈 상시 판매
    •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콘텐츠 안에서도 터치포인트 형성
  • 고객 경험 포인트: 콘텐츠 감상 전후에 몰입하고 참여하게 만드는 다층적 경험 구조 제공

 

⭐ 무인양품(MUJI): 비움의 철학을 모든 접점에 일관되게 구현

무지호텔긴자 홈페이지무인양품코리아 온라인스토어

  • 전략: 이름 없는 좋은 제품이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절제된 실용성 중심의 경험 설계
  • 터치포인트 운영 방식:
    • 로고 없는 패키지, 단순한 타이포와 컬러 사용
    • 매장 인테리어: 조명과 재료를 통일해 감정 개입 최소화
    • 태그, 설명서, 제품명 전반에 걸친 최소한의 언어
    • 조용한 체험 공간 제공: 음악 없이 고객의 자율적 탐색 유도
  • 고객 경험 포인트: 여백과 절제의 철학이 모든 접점에 동일하게 흐름. 소비자에게 자율과 조화를 제공

 

⭐ 네스프레소(Nespresso):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로 연출되는 커피의 일상화

네스프레소매장네스프레소매장

  • 전략: 커피를 예술처럼 즐기는 합리적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포지셔닝
  • 터치포인트 운영 방식:
    • 매장을 와인숍처럼 구성 → 경험 중심 구매 유도
    • 감성적인 제품 네이밍과 컬러 캡슐 디자인
    • 앱 UI/UX 고급화 + 구독 옵션 최적화
    • 기계와 캡슐 배송 시 고급 포장 + 카드 구성
  • 고객 경험 포인트: ‘커피를 마신다’는 행위를 라이프스타일의 일환으로 승화시킴. 고급 취향 형성

 

⭐ 다이슨(Dyson): ‘기술적 프리미엄’을 감각으로 증명하는 언박싱 경험

다이슨다이슨패키지

  • 전략: 고가 기술 브랜드임에도 광고보다 제품 사용 경험으로 신뢰를 구축
  • 터치포인트 운영 방식:
    • 언박싱 경험 설계: 정교한 개봉 순서, 완충 재질, 조립 순서
    • 수리 후 재포장 서비스 제공 → 제품 신뢰 복원
    • 체험형 매장 운영: 기능을 직접 보고 만지며 체험
    • 홈페이지, 설명서, UI 모두 데이터와 기능 중심으로 구성
  • 고객 경험 포인트: 제품이 닿는 순간부터 ‘기술력’이 감각적으로 느껴짐. 프리미엄 가격에 대한 납득 형성

 

브랜드 경험 설계: 전략을 경험으로 실현하는 방법

 

브랜드 경험 설계: 전략을 경험으로 실현하는 방법

당신은 지금까지 브랜드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타겟을 설정하고, 브랜드의 위치를 소비자의 마음속에 어떻게 자리잡게 할지 고민해왔습니다. 브랜드 페르소나를 만들고, 톤앤매너와 비주얼 시

dearmybrand.com

 

브랜드 가이드라인 작성법: 일관성을 지키는 실무 매뉴얼 만들기

 

브랜드 가이드라인 작성법: 일관성을 지키는 실무 매뉴얼 만들기

브랜드 가이드라인은 왜 필요한가?브랜드는 ‘한 번 만든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지속적으로 표현되고, 구현되고, 사용될 때 그 힘이 드러납니다.실무에서는 이런 일이 자주 벌어

dearmybrand.com